외국어/일본어

일본 실생활을 위한 기초 일본어-일본어

s2021h 2021. 3. 11. 01:28
728x90

안녕하세요~ Hyun이에요.

오늘도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알게된 지식 공유에요.

일본어란 무엇인가? 의 내용으로

한번씩 읽어보시면 좋을거같아서 가져왔어요.

사진, 통계와 함께 읽는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

일본어

목차

1) 일본어의 역사와 표기

2) 일본어의 계통

3) 방언(方言)과 도쿄어(東京語)

4) 일본어의 음운

5) 일본어의 한자

6) 일본어의 경어(敬語)

7) 일본어의 외래어

1) 일본어의 역사와 표기

히라가나의 변천

6세기경 한반도를경유해

일본에 전래된 한자를

토대로 해서 만들어진

일본의 표음문자.

일본어는 일본 열도에 거주하는 1억 2천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언어이다.

일본어는 중국어와 계통이 전혀 다른 언어지만,

일본어를 표기하는 문자는

중국어의 표기문자인 한자(漢字)에서 파생했다.

한자는 6세기경에 한반도를 거쳐

일본에 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한자가 일본에 전해진 이후 그것을 토대로 해서

일본인들은 두 종류의 표음문자(表音文字)인

히라가나(平仮名, ひらがな)와

가타카나(片仮名, かたかな)를 고안해 내,

표의문자(表意文字)인 한자와 더불어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가나(仮名, かな)의 제자(製字) 방식은

히라가나의 경우는 한자의 초서체를 간략하게 줄여서

만들었고(예: 安―あ, 以―い, 加―か 등),

가타카나의 경우는 한자의 부나 변, 방 등을 따서

만들었다(예: 阿―ア, 伊―イ, 加―カ 등).

히라가나와 가타카나 즉, 가나(仮名)는

음절문자로서 보통 50음이라고 하는데,

현재 각기 46개의 문자가 사용되고 있다.

일본어에는 타 언어에서 차용한

수많은 외래어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8~19세기 사이에는 중국어에서,

20세기 이후에는 주로 서양에서

많은 어휘를 받아들여 사용하고 있다.

일본어는 구문적으로

알타이어 계통에 가까운 언어이지만,

선사시대 어느시기의 어휘와 어형에 있어

남방의 말레이 폴리네시아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는 연구자들의 의견이 유력해지고 있다.

사이구(斎宮) 유물

히라가나가 탄생된 지 얼마 되지 않은

10세기의 토기에 쓰여진 것이다.

(© 斎宮歴史博物館)

일본어의 표기는 한국어를 표기할 때

한자와 한글을 병용하는 이치와 비슷하지만,

일반 표기를 할 때에는 한자와

히라가나(ひらがな)를 쓰고,

외래어나 의성어, 의태어를 표기할 때에는

가타카나(カタカナ)를 사용하게 되어 있어

비교적 복잡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명사·동사·형용사 등은 한자로 표기하고,

동사나 형용사의 어미나 조동사·조사는

가나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가나는 한자에서 온만큼 한자 표기와 마찬가지로

세로쓰기가 적합했지만, 현대에 와서는

가로쓰기도 병용되어 쓰이고 있는데,

현재는 숫자와 외국어 인용에 편리한 가로쓰기가

일반화되어 가는 추세이다.

그러나 일본인들에게는 여전히 세로쓰기가

읽기가 편해 신문이나 잡지, 서적 등에서는

세로쓰기를 지키고 있는 경우가 많다.

2) 일본어의 계통

일본어의 계통에 대해서는

북방의 여러 언어와 관계가 있다는 북방설과

남방의 여러 언어와 관계가 있다는 남방설이 있다.

그 중 일본어와 가장 관계가 깊은 것은 알타이어,

그 중에서도 특히 한국어일 것이라는 견해가 있지만

정설로 확정된 것은 아니다.

또한 최근에는 타미르어와의 관계가 거론되기도 했다.

대략적으로 일본어의 기반으로서 남방어가 있고,

그 위에 북방어가 들어왔을 것이라고

추측될 뿐 일본어 계통의 문제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전 세계에는

약 3,000~5,000개의 언어가 존재하고 있는데,

언어학자들은 그 중 중요 언어들에 대해

언어상의 형태를 근거로

고립어(孤立語), 굴절어(屈折語), 교착어(膠着語)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고립어(孤立語)는 단어 자체가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고 어형 변화를 하지 않고

서로 고립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문법적 기능은 주로 문장 안에 있는 어순에 의해

제시되는 언어를 말한다.

주요 언어로 중국어와 티벳어, 태국어 등이 있다.

굴절어(屈折語)는 단어 그 자체의 의미와

문법적인 관계를 나타내는 부분이

분리할 수 없을 정도로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단어 그 자체가 문장 안에서 기능이나

문법상의 관계가 변화할 때마다

형태의 전부나 일부가 바뀌는 언어를 가리킨다.

주요 언어로 영어, 불어, 독어 등이 있다.

그리고 교착어(膠着語)는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독립 단어에 문법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독립하지 않는 형식의 말이 붙어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언어로

한국어, 일본어, 몽고어 등이 이에 속한다.

일본어는 한국어와 같은 교착어이고

문법적인 구조가 비슷해 초급 일본어 학습에서

일본어에 쉽게 접근할 수 있음은 잘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어와 일본어는 주어, 목적어, 동사가

이어지는 어순이 비슷하고 한자와 한자어를

공유하는 동북아시아 한자문명의 일원이라는 점에서

한국인에게 있어 일본어는 세계에서

가장 가까운 언어일 것이다.

3) 방언(方言)과 도쿄어(東京語)

현대 일본어에는 수많은 방언이 있고

그와 동시에 수도인 도쿄(東京, とうきょう)에서

쓰이는 말을 기반으로 한 공인된 표준어가 있다.

도쿄의 표준어와 함께 중요한 방언으로는

교토(京都, きょうと)와

오사카(大阪, おおさか)의 말이 있다.

교토는 천년 이상 일본의 수도로

조정이 있었던 곳이지만

항상 정치·경제의 중심이었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토와 교토어는

여전히 특별한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

에도시대 도쿠가와(徳川, とくがわ) 막부가 있었던

에도(江戸, えど. 현재의 도쿄)는

중요한 상업과 정치의 도시로 발전해 갔다.

오사카는 에도보다 더 오래된 상업도시로,

조닌(町人, ちょうにん) 문화와 말(言葉, ことば)의

중심으로 번영했다.

특히 에도는 무사 정치의 중심지였기 때문에

에도의 말은 점점 그 지위를 확립해 나갔다.

메이지유신 이후 에도가 도쿄로 개칭되고

천황이 교토에서 도쿄로 옮겨 오자,

무사의 말과 귀족(조정)의 말이 더욱 혼합되어

표준어(단순히 도쿄어라고도 한다)가 성립되어 갔다.

4) 일본어의 음운

일본어의 모음에는

a, i, u, e, o라는 단모음이 있고,

스페인어나 이탈리아어의 발음과 다소 비슷하다.

장모음의 ā, ii, ū, ei, ō는

단모음을 2배로 늘려서 발음하며

ei 등과 같이 2개의 다른 모음을

연속해서 발음하는 경우도 있다.

장모음, 단모음은 주로 말의 뜻으로 구별된다.

ei와는 달리 ai, au, ae, oi, ue 등은 각각의 모음을

분명하게 연속해서 발음한다.

한편 자음에는 k, s, sh, t, ch, ts, n, h,

f, m, y, r, w, g, j, z, d, b, p가 있다.

마찰음 sh, 파찰음 ch, ts, j1)도

단독 자음으로 취급된다.

일본어에는 영어와 같은 강약(強弱) 악센트가 없으며

모든 음절이 같은 길이로 발음된다.

그대신 표준어나 방언에는 고저(高低) 악센트가 있다.

악센트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떨어지는

음절의 위치가 그 단어의 악센트의 형태를 결정한다.

같은 단어 또는 동음이의어는

고저 악센트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일본어의 악센트는 강약의 악센트가 아니라 고저의 악센트이다.

5) 일본어의 한자

음독과

훈독의 예

한자는 고대중국에 기원을 둔 표의문자(表意文字)로서

현재 한국, 중국, 대만, 일본 등지에서 사용되고 있고,

예전에는 동아시아 한자 문명권 안에서

베트남도 사용한 적이 있었다.

일본어에서 한자는 중국에서 기원한 한자어와

일본 고유의 어휘를 표기하는

두 가지 표현법이 사용되고 있다.

즉, 중국 고유의 한자어를 표현하는 방식인

음독(音読み)과 고유의 어휘를 한자로 표기하고

고유의 발음으로 읽는 훈독(訓読み)이 그것이다.

쉽게 말해 앞의 음독(音読み)이라는 단어에서

'音'을 중국어 발음에 가깝게

'온(おん)'이라고 읽는 것이 음독이고,

'읽기'라는 뜻의 일본 고유어를

'요미(読み)'라고 읽는 것이 훈독이다.

'訓'이라는 문자는 본래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의미를 풀어준다는 것으로

한자의 의미를 일본어로 나타내는 것을 뜻한다.

현재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자는 4~5만 자 정도로,

한자의 극히 일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일본 문부성(文部省)은 1946년,

그 중에서 공문서나 의무교육, 일반 잡지나 신문 등에

사용되는 한자를 1,850자로 제한하고

이를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한자라는 의미로

당용(當用)이라고 했다.

그 후 한자 수가 더 늘어나 1,945자가 되었고

이를 상용한자(常用漢字)라고 한다.

6) 일본어의 경어(敬語)

일본어에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 대해 경의를 표하는 경어(敬語)라는

복잡한 언어 형식이 존재한다.

경어는 넓은 의미로는

스피치 레벨 전체의 계통을 뜻하고,

좁은 의미로는 존경을 나타내는 말,

혹은 그 표현 방식을 가리킨다.

그리고 이러한 표현 방식은 듣는 사람에 대한

말하는 사람의 입장이나

관계 또는 회화의 전후관계에 따라 달라지는데,

간단한 질문에도

20종류가 넘는 다양한 화법이 존재한다.

화법은 기본적으로 말하는 이와

듣는 이의 지위나 친밀도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한국어와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듣는 사람이 말하는 사람보다

윗사람이거나 양쪽이 그다지 친밀하지 않을 경우에는

정중어 '데스'(です : ~입니다)와

'마스'(ます : ~습니다)를 사용한다.

양자의 관계는 연령이나 성별, 직함,

또는 사회적 지위나 신세를 진 정도

등에 의해 다양하게 표현된다.

한편, 동일집단 내에서는 말하는 사람이 윗사람일 경우,

반말(평상어)인 '다'(だ : ~이다)를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정중어를 사용할 것인지는 상황에 따라

말하는 사람이 선택하게 된다.

반면, 동일집단에 속해 있지 않은 사람간의

첫대면에서는 보통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중어를 사용한다.

여성은

남성보다 정중한 화법을 쓰는 경우가 많고

아랫사람에 대해서도

남성처럼 반말을 하는 경우가 드물다.

이 점이 한국어 화법과 다른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여성은 광범위하게 정중어를 사용하고,

반말을 하는 것은 가족이나 친구, 자녀 정도에 한하며

그 또한 아주 부드럽게 표현한다.

7) 일본어의 외래어

일본어는 한국어 이상으로

외국어에서 말을 빌려온 외래어(外來語)가 많다.

이 표기는 보통 가타카나(片仮名, かたかな)로 하는데,

중국어(한자어)에서 차용한 단어는

그 수가 방대하고 한자로 표기하기 때문에

외래어라고 하지 않고

주로 미국이나 유럽에서 들어온 말을 외래어라고 한다.

외국의 언어는 외국 문화로부터

새로운 사물이나 사상과 함께 일본에 유입되었다.

그 대부분은 엄청난 수의 기술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대응하는 일본어가 없는 전문용어였다.

설령 대응하는 표현이 있다고 해도

새로움이나 고급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해

외래어를 사용했고,

또한 '화장실'이라는 말을 WC나 トイレ(토이레)와

같이 완곡하게 표현하는 데도 사용된다.

16세기에는 포르투갈인들이 일본으로 건너오면서

기독교나 상업에 관한 말이 포르투갈어에서 차용되었고,

17세기에서 19세기 말에는

영어, 프랑스어, 러시아어에서도 외래어가 만들어졌다.

현재는 영어에서 차용한 외래어가 압도적으로 많은데,

ストライキ(스토라이키: 파업),

デパート(데파토: 백화점),

カレーライス(카레라이스) 등 많은 용례가 있다.

프랑스어에서 온 외래어는

복식, 요리, 외교, 정치 관련 용어가 많고,

독일어에서는

의학, 인문과학, 등산, 스키 용어 등,

그리고 이탈리아어에서는

음악, 식물 관계의 용어가 많이 차용되었다.

『日本人の好きなもの』 (NHK出版生活人新書. 2008)

『日本人の好きなもの』 (NHK出版生活人新書. 2008)

출처: 세계 언어백과

출처

 

사진 통계와 함께 읽는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 2011. 9. 5. 책보러가기

사진 통계와 함께 읽는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

겉으로 들어나는 일본의 모습뿐 아니라 내면에 감춰진

일본인의 정신세계까지 상세하게 설명하고,

생생한 현지 자료를 함께 엮은... 자세히보기

 

저자 정형 교수

서울출생.

서울고등학교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어과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및

일본 쓰쿠바대학 대학원 석·박사 과정 수료.

문학박사. 일본문화론(일본사상) 및 일본근... 자세히보기

제공처

다락원 http://www.darakwon.co.kr

제공처의 다른 책 보기

[네이버 지식백과] 일본어

(사진 통계와 함께 읽는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

2011. 9. 5., 정형)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NAVER Copyright

© NAVER Corp. All Rights Reserved.

[네이버 지식백과] 일본어

(사진 통계와 함께 읽는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

2011. 9. 5., 정형)

728x90